환경운동연합, ‘2018년 10대 환경 뉴스’ 발표…'월성1호기 폐쇄, 신규 원전 4기 백지화' 등 선정

월성1호기 폐쇄 및 신규 원전 4기 백지화, 미세먼지, 생활용품 라돈 검출 사건, 플라스틱 쓰레기 등 에너지 전환·생활 밀착형 환경 이슈에 관심 높아

2018-12-20     김은아 기자

[비즈월드] 환경운동연합이 ‘2018년 10대 환경 뉴스’를 선정·발표했습니다.

선정기준은 언론보도 비중 및 시민 관심도, 사회적 파장, 환경 문제의 상징성, 향후 사회적 과제 등을 고려했습니다. 사안 별로 한 해 이슈를 선별하고 이 가운데 일반 시민과 환경운동가의 설문조사 및 관련 전문가의 의견 등을 반영해 최종 선정했습니다.

환경운동연합이 선정한 2018년 10대 뉴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월성1호기 폐쇄, 신규 원전 4기 백지화

- 4대강 보 13개 개방, 모래톱 드러나고 생태계 복원

- 침대·생리대 등 생활용품에서 라돈 검출

- 국민 식탁 위협하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 정부, 카페 매장 내에서 일회용 컵 규제·단속 시행

- 미세먼지 저감·관리 특별법 통과 및 노후 석탄발전소 봄철 가동 중단

- 주택가 비닐·스티로폼 쓰레기 수거 대란

- 물관리 업무 환경부로 일원화

- IPCC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 채택

- 정부, 새만금에 세계 최대 태양광·풍력발전단지 조성 계획 발표

2018년은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에너지 전환 정책 로드맵이 조금씩 가시화되는 한 해로 지난해 고리1호기 원전 영구 정지 및 문재인 대통령의 탈원전 국가 선언에 이어 올해는 ▲월성1호기 폐쇄, 신규 원전 4기 백지화 뉴스가 환경 뉴스로 선정됐습니다.

또 ▲IPCC 지구온난화 1.5도 특별보고서 채택과 미세먼지 저감·관리 특별법 통과 및 노후 석탄발전소 봄철 가동 중단 이슈도 높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올해는 시민단체의 요구로 미세먼지가 심한 3월 ~ 6월 간 노후 석탄발전소 5기의 가동을 중단했고, 이로 인해 충남지역의 미세먼지가 평균 24.1% 감소하는 효과를 낳았습니다. ▲정부의 새만금 태양광·풍력 발전단지 조성계획 발표가 많은 득표수를 얻으며 에너지 관련 이슈가 올 한해 시민들의 주요 관심사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올해 5월부터 가을까지 시민들을 불안하게 했던 ▲생활용품 라돈 검출 문제도 10대 환경뉴스로 선정됐습니다. 한 시민의 제보로 알려진 이 사건으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각종 생활용품의 방사능 물질 관리가 얼마나 허술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건의 책임·관리 부서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미온적인 태도와 늑장대응을 보여 시민들의 많은 질타를 받았습니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카페 내 일회용 컵 규제 ▲주택가 쓰레기 수거 대란 등의 뉴스 또한 상위 이슈로 선정되며 시민들의 생활·일회용 쓰레기에 대한 관심을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생활·일회용 쓰레기 감축에 대한 뚜렷한 정부의 대안은 나오지 않아 많은 환경 전문가들의 우려를 사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4대강 보 13개 개방, 모래톱 드러나고 생태계 복원 뉴스와 ▲물관리 업무 환경부로 일원화 뉴스와 같이 4대강 복원 분야에도 관심이 높았습니다. 하지만 올 5월 개정된 ‘물관리일원화’법 중 ‘하천법’은 일원화 대상에서 제외되며 ‘반쪽짜리 개정’이라는 비판도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제주 비자림로 삼나무 숲길 확·포장 공사 논란 ▲가습기살균제·세월호 사회적참사특조위 조사 착수 ▲에너지 전환 가로막는 가짜뉴스 기승 ▲영풍 석포제련소 48년만에 조업정지 20일 처분 등이 중요한 환경뉴스로 꼽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