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승자 안전이 최우선"…현대·기아차, '복합충돌 에어백' 시스템 세계 최초 개발
[비즈월드] 자동차 운행 중에는 탑승자의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이를 위해 현대·기아차가 국내외 교통사고 사례를 정밀하게 분석해 '복합충돌' 상황에서도 안전도를 높인 새로운 에어백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복합충돌이란 차량의 1차 충돌에 이어 다른 자동차나 시설물과 연이어 충돌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북미에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5만6000여 건의 교통사고 사례를 분석한 결과 복합충돌은 이중 30%에 육박할 정도로 자주 발생합니다.
북미의 사례를 보면 복합충돌 사고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한 순서는 ▲국도 중앙선 침범충돌(30.8%) ▲고속도로 톨게이트 급정거 충돌(13.5%)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충돌(8.0%) ▲도로가 가로수 및 전신주 쓸림 충돌(4.0%) 등의 순이었습니다.
이에 그동안 현대·기아차는 이 네 가지 상황에서 차량 움직임과 승객의 자세 등을 수많은 해석 시뮬레이션과 충돌 시험을 통해 패턴화 했습니다. 또 이를 바탕으로 탑승자 안전도를 높인 새로운 '복합충돌 에어백'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기존 에어백 시스템은 1차 충돌이 일어나면 이에 따른 충격으로 탑승자의 자세가 비정상적으로 바뀌어 부상을 입을 확률이 높아지는데 이를 감안하지 않았습니다. 다시 말해 1차 충돌 후 다시 기준 충격 강도에 도달할 때만 에어백이 작동하는 것입니다.
현대·기아차는 이 부분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기존 에어백 시스템이 복합충돌이 일어나는 사고에서도 모든 충돌을 독립적인 1차 충돌로 인식하는 부분을 보완했습니다. 복합충돌 에어백 시스템은 1차 충돌에서 에어백이 터지지 않을 만큼 충격이 약했을 경우나 탑승자의 불안정한 자세와 속도 등 여러 가지 조건을 정밀하게 계산해 이후의 충돌에서는 기준 충격 강도를 낮추거나 작동시점을 조절합니다.
또 현대·기아차는 향후 출시될 신차들의 제원에 최적화된 버전의 복합충돌 에어백 시스템을 추가 개발해 순차적으로 적용할 예정입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에어백 시스템 개선으로 차량 안전기술이 한 단계 진보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 사고에서 소중한 목숨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