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으로 자동차 시동을?"…현대·기아차,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키' 개발
[비즈월드] 스마트폰으로 자동차 시동을 걸 수 있는 시대가 다가왔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공유 자동차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키' 개발을 완료하고 향후 출시될 신차에 이를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4일 밝혔습니다.
디지털키 기술은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을 활용해 기존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이 디지털키를 이용하면 운전자가 기존 스마트키를 지니고 있지 않아도 스마트폰만으로 자동차의 출입과 시동, 운행, 차량 제어가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자동차를 운행하려면 항상 키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에서 해방되는 것입니다.
또 디지털키는 타인에게 공유할 수 있는 특징도 갖고 있습니다. 자동차 소유주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키를 공유할 수 있으며 공동 사용자는 자동차 소유주의 인가에 따라 디지털키를 스마트폰 앱에 다운받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차량 소유주가 키를 공유할 때 사용 기간 또는 특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한적 공유도 가능합니다.
여기에 현대차와 기아차는 스마트폰 디지털키로 탑승 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한 아웃사이드미러, 운전석과 운전대 위치, 전방표시장치(HUD) 및 AVN 설정 등이 자동 변경되도록 차량 개인화 프로필을 적용했습니다.
향후 공유 자동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자동차 대여자와 수여자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디지털키를 주고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화 프로필 적용, 주차 위치 확인 등도 할 수 있도록 기능 업그레이드도 준비 중입니다.
이와 함께 현대차와 기아차는 정비소 등 디지털키를 공유하기 애매한 상황이나 디지털키가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키와 기존 스마트키도 따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디지털키 기술은 차량과 스마트폰 연결을 통한 커넥티드 기술의 첫걸음"이라며 "자동차 이용의 편의성과 다양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은 물론 앞으로도 다양한 IC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