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지식재산위원회, '2019년도 국가지식재산 네트워크(KIPnet)' 본격 가동
간사기관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저작권위원회 등 선정
[비즈월드] 대통령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산하 지식재산전략기획단(정한근 단장)은 지난 12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에서 2019년 국가지식재산네트워크(KIPnet)를 운영할 기관으로 한국특허전략개발원(IP-창출‧활용), 한국지식재산보호원(IP-보호), 한국저작권위원회(IP-저작권)를 선정하고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명의의 위촉장을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지식재산네트워크(이하 KIPnet)는 지식재산 유관기관과 단체간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2012년도에 출범했습니다. IP 창출·활용, 보호 및 저작권 등 3개 분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60여개 이상 대학, 연구·개발, 저작권, 산업별 출연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KIPnet는 매년 ▲IP-R&D ▲기업의 지식재산 보호 및 활용 ▲4차산업혁명 시대 지식재산 역할과 방향 등 지식재산 관련 주요 트렌드에 따라 주요 지식재산 관련 현안 이슈를 선정하고 컨퍼런스 개최, 협의회·교육 등을 실시하며 지식재산 관련 기관 간 주요 소통채널 역활을 담당했습니다. 앞으로도 지식재산 관련 기관의 아이디어 및 애로사항 등을 발굴하고 파악하는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합니다.
이날 합동착수보고회에서 KIPnet는 올해의 컨퍼런스 주제를 ‘글로벌 기술환경 변화에 따른 IP 제고방안’으로 확정하고 각 분과별 세부주제에 대한 운영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먼저 ‘IP 창출활용 분과’에서는 특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글로벌 메가트렌드 및 기술트렌드 이해에 대해 논의했으며 ‘IP 보호분과’에서는 지식재산권 보호와 이용의 조화를 통한 합리적인 IP재분배 방안에 대해, ‘IP 저작권분과’에서는 글로벌 저작물 이용환경에서의 저작권 가치증진 방안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정한근 지식재산전략기획단장은 “5세대(5G) 이동통신의 상용화와 빅데이터의 활용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있어서 지식재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지식재산의 보호와 활용을 위한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KIPnet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므로 간사기관이 촉진자가 되어줄 것을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대통령 소속 위원회로 지식재산에 관한 정부의 주요 정책과 계획을 심의·조정하고 추진상황을 점검·평가하기 위한 기구(지식재산 기본법 제6조)이며, 이낙연 국무총리와 LS산전 구자열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