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건강 담보로 폭리 취하는 마스크 업체”…소시모, ‘오픈마켓·소셜커머스 마스크 가격, 2년 전보다 최대 2.7배 ↑’
[비즈월드] 중국발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위생용품 소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부 몰지각한 마스크 판매업체가 국민 건강을 담보로 돈을 벌고 일부 인터넷쇼핑몰에서는 주문한 마스크를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취소하는 등 상도덕을 잊은 몰지각한 상술로 소비자 불만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시민모임(회장 백대용, 이하 소시모)은 설 연휴가 끝나고 인터넷 쇼핑몰에서 본격적으로 마스크 판매 및 배송이 이루어진 1월 28~31일 10개 소비자단체 등이 참여하고 있는 1372 소비자상담센터로 접수된 마스크 관련 상담을 분석한 결과, 나흘간 마스크 구입과 관련해 접수된 상담은 782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1월 28일 9건이었던 관련 상담은 29일 75건, 30일 210건, 31일 488건으로 1월 31일에는 1월 28일보다 54배나 늘었습니다.
이 기간 782건의 주요 상담 내용(복수 응답)으로는 인터넷쇼핑몰에서 마스크를 주문했는데 품절 등으로 주문 취소됐다는 상담이 97.1%(759건)로 가장 많았습니다.
마스크 가격이 인상됐다는 상담이 16.1%(126건), 배송된 마스크 수량이 적게 배송되거나 다른 상품이 배송됐다는 등 상품오배송 상담이 0.8%(6건)으로 나타나 대부분 마스크 주문 취소와 관련한 내용이었습니다.
가격 인상간련 상담 126건 중 98건은 상품 품절을 이유로 마스크 주문을 취소했는데 검색해보니 동일 제품의 가격을 인상해서 판매하고 있었다는 상담이었습니다.
마스크 관련 불만 상담 782건의 구매 장소는 소셜커머스(48.2%), 오픈마켓(29.0%), TV홈쇼핑(6.0%), 위생용품 전문쇼핑몰(5.2%) 순으로 주로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에서 주문 취소 등이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소시모 측은 “마스크 판매자들이 일방적으로 취소한 후 가격을 인상해 판매하는 것에 대해 쇼핑몰 차원의 판매자 관리 강화와 해당 판매자들의 강력한 제재 조치 등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마스크 제품 가격 인상도 논란이 됐습니다.
소시모가 1월 31일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등 5개 온라인쇼핑몰에서 판매하는 마스크 가격을 조사한 결과 성인용 KF94 마스크 1개당 평균 가격은 3148원, 성인용 KF80 마스크의 평균 가격은 2663원이었습니다.
이는 소시모가 2018년 4월 조사한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 판매 마스크 가격과 비교해 KF94는 2.7배 올랐고, KF80은 2.4배 비싸진 것입니다.
같은 날 소시가 소셜커머스와 오픈마켓의 마스크 판매 가격 조사한 결과 마스크 1개 당 가격이 2년전에 비해 최대 2.7배 인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절이 많고, 1인당 구매 할 수 있는 제품의 수량 제한이 있어 소비자의 마스크 구매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시민모임 측은 “우한 폐렴 예방을 위해 개인위생 강화에 필요한 마스크 제조 유통과 관련해 제품 사재기나 매점매석 등의 판매로 인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상행위는 근절되어야 하며, 정부는 제조 판매 유통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소비자들은 오픈마켓 등 온라인을 통해 마스크를 구매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온라인 쇼핑몰은 의도적으로 제품을 품절시키고 다시 가격을 인상해 판매하는 사업자나 가격이 다른 사업자에 비해 과도하게 비싸게 판매하는 사업자 등에 대한 자체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공정한 유통시장이 될 수 있도록 쇼핑몰 자체적인 관리 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소비자들 역시 무분별하게 제품을 사재기 하거나 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가급적 피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며, 손씻기 등을 철저히 하는 개인 공중위생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당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