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위기 넘은 삼성"…이재용 부회장의 남은 과제는?

지난 9일 그룹 승계 관련 검찰 구속영장 기각 '위기 극복'과 '미래 준비' 위한 행보 집중할 듯

2020-06-10     정재훈 기자

[비즈월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삼성그룹이 최악의 위기를 넘었다. 이 부회장은 앞으로 산적한 과제 해결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재계와 검찰 등에 따르면 원정숙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오전 2시께 검찰이 청구한 이 부회자의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함께 청구된 최지성 전 삼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김종중 전 미래전략실 전략팀장(사장) 등도 구속을 면했다.

검찰은 이 부회장이 삼성그룹의 경영권을 승계하고 그룹의 지배력을 높이기 위해 그룹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계열사 합병과 분식회계를 진행한 것으로 보고 수사를 이어왔다. 특히 그룹이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이 부회장에게 유리하게 합병 비율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이익을 얻었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전날 오전 10시30분부터 8시간30분간 이뤄진 이 부회장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결과 재판부는 구속영장 기각을 결정했다. 불구속재판의 원칙에 반해 피의자들을 구속할 필요성과 상당성에 관한 검찰의 소명이 부족하고 장기간의 수사로 증거가 대부분 수집돼 증거인멸과 도주 우려가 없어 구속 사유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삼성은 총수 부재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게 됐다. 이 부회장이 구속될 경우 회사 경영은 물론 중장기 성장계획과 투자 등에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큰 상황이었다. 실제로 지난 2017년 이 부회장이 국정농단 사태로 구속됐던 1년간 삼성은 리더십 공백으로 대규모 투자나 인수합병(M&A)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경영활동이 어려웠다.

이와 함께 이 부회장은 앞으로 산적한 과제 해결에 집중할 전망이다. 먼저 검찰이 영장을 재청구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비해야 한다. 2017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특별검사팀이 구속영장을 재청구해 이 부회장이 구속됐다. 검찰이 구속영장 재청구 대신 재판을 위한 기소에 나설 수 있어 이 부분에서도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여기에 코로나19와 미중 미역분쟁, 한일 갈등 고조 등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위기 극복과 미래 준비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 특히 가전이나 스마트폰보다 영향이 적겠지만 메모리(D램·낸드플래시) 수요 둔화 등 반도체 사업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만들어야 한다. 삼성전자가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 마련에 돌입한 상황인 만큼 이 부회장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동안 멈춘 투자와 M&A도 빼놓을 수 없다.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M&A도 적극 모색할 것으로 입을 모으고 있다. 애플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포스트 코로나'를 맞아 M&A에 열을 올리고 있어 삼성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M&A 매물을 찾아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국정농단부터 계속된 사회‧국민적 신뢰 회복을 위한 행보도 시작해야 한다. 이 부회장은 대국민 사과에서 경영권 승계 논란과 노사 문제 등을 사과하고 대한민국 국격에 어울리는 새로운 삼성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실효적인 노사문화 개선 방안 등 다양한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재계 관계자는 "삼성그룹이 이 부회장 구속영장 기각으로 최악의 위기를 피했다. 이 부회장과 관련한 검찰 수사가 앞으로도 이어지겠지만 이 부회장은 현재의 위기 극복과 미래 준비를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