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면에서 출원 특허만 4011건"…코웨이, 18년 연속 '대한민국 신기술혁신상' 수상
[비즈월드] 라이프케어기업 '코웨이(대표 이해선)'가 한국표준협회에서 주관하는 '2020 대한민국 혁신대상'에서 18년 연속 신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올해로 21회째를 맞이한 대한민국 혁신대상은 신기술·제품·서비스 분야에서 혁신을 통해 획기적 성과를 이룬 기업에 대해 시상하는 상이다.
신기술혁신상을 수상한 '코웨이 한뼘직수 정수기(CHP-8300R, CP-8300R)'는 최초로 RO 멤브레인 필터 직수화에 성공한 제품의 후속 모델이다.
이 제품은 22㎝의 한뼘 사이즈 크기, RO 멤브레인 필터 직수화, 유로 자동 비움 등 새로운 기술을 통해 혁신을 이룬 점을 인정받아 신기술혁신상을 수상했다.
한뼘직수 정수기는 코웨이의 필터 기술력을 집약한 프리미엄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RO 멤브레인 필터는 중공사막이나 나노 필터보다 촘촘하고, 세밀하게 거르는 특성상 시간당 정수 용량이 작아 직수식으로 사용하기 어려웠다.
코웨이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RO 멤브레인 필터의 정수 성능은 유지하면서 정수량을 30배 높인 필터를 개발했다.
코웨이 한뼘직수 정수기는 일반적인 직수 정수기와는 달리 오염 물질 제거 성능이 높아 수은, 크롬 등 중금속부터 초미세 이온물질까지 제거할 수 있다.
이 제품은 기존 제품 대비 크기를 약 30% 줄여 공간 활용성을 높였으며 조작부를 강화유리 재질로 만들어 프리미엄 가전 이미지를 부여했다. 또한 물을 마실 때마다 유로에 남은 잔수를 모두 배출하는 '유로 비움 모드'를 탑재해 위생성도 높였다.
박찬정 코웨이 환경기술연구소장은 "코웨이 한뼘직수 정수기는 RO 멤브레인 필터의 직수화가 어렵다는 선입견을 깬 혁신적인 제품"이라며 "앞으로도 코웨이의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생활에 새로운 변화를 선사하는 제품을 꾸준히 선보일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코웨이는 정수기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도 기술개발(R&D)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
비즈월드가 확인한 결과 코웨이가 지금까지 국태 특허청에 출원한 특허(실용신안 포함)만 4011건에 이르다.
가장 최근 선보인 특허는 올해 5월 20일 출원(출원번호 제1020200060401호)해 올해 6월 3일 공개(공개번호 제1020200062104호)한 '온수 발생 장치' 특허다.
이 특허에 대해 코웨이 연구진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관부와 제2 관부 및 상기 제1 관부의 일단과 상기 제2 관부의 일단을 연통하는 유로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외부면이 상기 제1 관부의 내부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1 관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제1 히터 및 외부면이 상기 제2 관부의 내부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2 관부와 동축 상에 배치되는 제2 히터를 포함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관부의 타단 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입수구 및 상기 제2 관부의 타단 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부는, 내부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성된 제1 나선 유동 형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관부는, 내부면에 형성된 나선 형상의 돌기 또는 홈으로 구성된 제2 나선 유동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히터는, 상기 입수구를 통해 입수되어 상기 제1 관부의 내부면, 상기 제1 히터의 외부면 및 상기 제1 나선 유동 형성부에 의해 정의되는 경로를 따라 나선 형상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는 물을 1차 가열하고, 상기 제2 히터는, 상기 유로부를 통해 상기 제1 관부에서 입수되어 상기 제2 관부의 내부면, 상기 제2 히터의 외부면 및 상기 제2 나선 유동 형성부에 의해 정의되는 경로를 따라 나선 형성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는 물을 2차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발생 장치가 개시된다"라고 요약 설명했다.
이밖에 코웨이는 1004건의 디자인 특허와 4008건의 상표를 출원하는 등 왕성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