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국은행 홈페이지]](/news/photo/201809/10453_10500_2042.png)
미국 연방준비위원회(이하 연준)은 9월 FOMC에서 올해 들어 세 번째 연방기금금리를 1.75~2.0%→2.0~2.25%로 인상함에 따라 한국도 금리인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폭이 0.75%포인트로 확대된 것은 2007년 7월 이후 11년 2개월 만입니다.
미 연준은 성장률 전망치를 2018년 2.8%에서 3.1%로, 2019년 2.4%에서 2.5%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또 통화정책 기조가 완화적이고 강한 고용시장 상황과 지속적인 물가 상승률 2% 도달을 지지할것이라는 문구가 삭제했습니다. 파월 연준 의장은 완화적이라는 문구 삭제가 정책변화 신호가 아니라고 강조하며 긴축 기조가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아울러 미 연준의 금리인상 전망 횟수는 올해 네 차례, 내년도 세 차례를 유지해 12월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했습니다.
시장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27일 한국은행은 금번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이 시장에서 예견됐고 향후 정책금리 예상 경로도 종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아 국내 금융·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그럼에도 한은의 금리인상 필요성은 증폭된 상황입니다.
지난 18일 공개된 8월 한은 금통의 의사록에서도 강경파 매파 성향은 뚜렷했습니다. 8월 금통위에서 3명의 매파 성향 금통위원들은 과도한 금융불균형 억제와 정책 여력 확보 차원에서 완화 정도의 축소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고, 2명의 금통위원은 매파 성향에 가까운 '중립' 입장을 보였으며, 완화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명확한 유연성을 강조하는 비둘기 성향은 1명에 불과했습니다.
향후 대내외 여건이나 물가에 대한 확인 과정이 필요하지만 10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성장률과 물가 전망 경로가 크게 훼손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한은이 금리인상 시점을 11월로 미룰 명분은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한미 금리 역전 확대, 가계대출 증가, 주택가격 상승 등 국내 리스크와 한미 무역분쟁, 신흥국 금융불안 등 대외 리스크도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는 요인입니다.
한국은행은 통화금융대책반은 이날 회의에서 "한·미 정책금리 역전폭이 확대된 가운데 앞으로도 미 연준의 금리인상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조금 더 경계감을 갖고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 움직임에 대한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