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이 대기오염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는 화력발전소에 대규모 투자하고 있어 정부의 친환경에너지 확대 정책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장병완 의원이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업은행은 석탄·화력발전에 지난 8년간 총 1641억원, 기업은행은 6년간 1096억원 PF대출을 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산업은행 발전투자의 11%, 기업은행의 43.99%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겉으로는 친환경 금융행보를 걷는 것으로 포장돼 있습니다.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취지로 금융기관 최초로 녹색기후기금과 적도원칙에 동참하며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화석연료에 금융투자하고 있어 비판의 대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장 의원은 "산업은행은 2016년에 녹색기후기금(GCF)의 이행기구로 승인, 그 다음 해인 2017년 국내 금융기관 최초로 적도원칙을 채택하며 3억 달러 상당의 녹색채권을 발행했다"며, "이런 행보와는 다르게 현재까지 석탄·화력사업에 막대한 공적금융을 제공하며 파리기후협약 등 국제사회 흐름과 부합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장 의원은 "석탄발전은 이미 민간에서 충분한 이익을 통해 순익을 맞출 수 있는 산업이다"며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탈석탄' 금융투자 대열에 합류하고, 국책은행으로서 열악한 산업이나 신기술에 투자해 산업을 키우는 정책금융의 역할을 하라"고 촉구했다.
산업은행 측은 "적도원칙과 별개로 OECD 가이드라인에 따르고 있다"며 "지금 투자하고 있는 석탄발전소는 초초임계압 발전소와 대기오염 저감시설을 적용한 친환경석탄발전소여서 적도원칙을 훼손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만, 2017년 국립환경과학원의 '초초임계압 석탄화력발전소'와 'LNG발전소'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보고서에 따르면 두 발전소의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LNG발전소에 비해 화력발전소가 4.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