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0-07-06 09:35 (월)
한국은행 차세대 회계·결제시스템은?, LG CNS와 2020년까지 구축
한국은행 차세대 회계·결제시스템은?, LG CNS와 2020년까지 구축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합구축(SI), 사업관리(PMO), 외부 감리, 개인정보 영향평가, IT취약점 진단 등 5개 프로젝트 진행
한국은행 차세대시스템 통합구축(SI) 사업의 범위 [자료=한국은행]
한국은행 차세대시스템 통합구축(SI) 사업의 범위. 표=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차세대 회계·결제시스템 통합구축(SI)사업이 ' LG CNS, 대신정보통신, 한국정보산업협동조합 컨소시엄'을 통해 진행됩니다.

 차세대 시스템 구축에 소요된 계약금액 만해도 749억9000만원에 달합니다. 사업기간은 26개월(2018.11~2020.12), 투입인력은 3393M/M (월평균 130명, 최대 250명 예상)로 한국은행은 금융기관간 자금결제업무를 처리하는 한은금융망(BOK-Wire)과 한국은행의 내부 회계시스템을 재구축해 관련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한다는 구상입니다.

한국은행은 LG CNS(컨)에 ▲독립된 한은금융망시스템 구축 ▲내부 회계시스템 구축 ▲개방형 시스템을 기술적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를 위한 통합구축(System Integration)사업은 요건정의 및 분석, 설계, 코딩, 테스트, 이행 단계를 거쳐 2020년 10월에 가동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선 응용프로그램 구현을 위해  공통ㆍ총괄계리ㆍ발권ㆍ여신ㆍ수신ㆍ거액결제ㆍ국고ㆍ증권ㆍ국제금융을 포함하는 업무를 대상으로 개발(9개), 외부 한은망·국고망 참가기관 및 내부 회계시스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구축과 한국은행과 참가기관간 거래 전문을 중계하는 시스템을 구현(5개), 차세대시스템과 자료교환이 필요한 경제통계ㆍ채권시장정보시스템 등 내부 정보시스템에 대한 대응개발(10개) 등 24개 세부영역을 프로그램화할 예정입니다.

또 업무시스템의 개발ㆍ운영ㆍ관리를 위한 전산환경 구축에 필요한 IT자원(H/W, S/W) 및 보안장비를 도입하게 됩니다. 

차세대시스템개발사업 추진일정 [자료=한국은행]
차세대시스템개발사업 추진일정. 표=한국은행 제공

 

◆한은 "우리나라 핵심 지급결제시스템 역할과 위상 강화가 목표"

이 사업이 완료되면 시스템 운영부담이 경감되고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은금융망과 회계시스템은 분리되고, 이에 맞춰 당좌예금계좌 구조, 일중당좌대출 공급 방식 등 한은금융망의 운영 방식이 개선된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발대상 5000여 업무 프로세스 가운데 600여개가 효율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개선된다고 합니다.

 또 한국은행의 고유 업무인 통화안정증권의 발행 및 환매, 국공채의 발행 및 상환,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 금융기관의 예금과 지급준비, 발권, 외국환 업무, 외화자산 운용 등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금거래, 회계처리 등을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이 마련됩니다. 

 아울러 대외기관과의 연계 확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적시에 반영할 수 있는 개방형 시스템으로 변화한다고 합니다. 현행 폐쇄형시스템(메인프레임, COBOL)을 개방형 시스템(유닉스서버, Java)으로 전환하고 프레임워크 기반의 개발 및 운영 환경을 마련하여 IT생산성을 높이게 됩니다. 

프레임워크는 표준화된 기능을 구현한 프로그램과 이를 확장한 추가기능을 구현할 때 따라야 할 규칙(알고리즘)이 모아진 소프트웨어을 뜻합니다.

 한국은행은 "금번 차세대시스템 개발사업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지급결제 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한은금융망은 우리나라 핵심 지급결제시스템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한은금융망 운영방식 개선, 결제주기 단축 등을 통해 결제리스크는 낮아지고 금융기관간 자금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고 기대감을 보였습니다.

 나아가 지급결제정보의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을 통해 결제 행태, 자금흐름 등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금융시장의 변화를 선제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역량도 증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전산 기술구조(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등) 통합, 새로이 적용한 개발방법론 및 데이터 표준화 관리체계는 시스템 운영의 생산성과 시스템 이용의 편리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사용자 친화적인 입출력 화면구성과 복잡한 업무처리단계 단순화로  업무수행의 효율성(efficiency at operation)을 높이는 가운데서도 전행적인 운영리스크 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