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월드] 시설원예·축산 중심으로 추진되어 오던 스마트팜이 이제는 노지까지 확대되고 추세입니다. 노지작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 노동력 절감, 생산성 향상 및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모델이 발굴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시·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이 노지작물 재배 농업인·농업법인과 함께 공모에 참여해 ICT적용을 통한 자동 관수, 드론을 활용한 자동 병해충 방제, 외부기상 분석을 통한 병해충 예측 등 다양한 모델을 발굴하기로 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7일 노지작물에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하는 ‘노지작물 및 과원 스마트영농 모델개발사업’에 참여할 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센터를 오는 25까지 공모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업은 농가인구 감소, 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노지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들에게 ICT기술을 접목해 자동 관수, 자동병해충 방제 등이 가능한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계획됐습니다.
농식품부는 2018년에는 노지작물 중 채소(무·배추·양파·고추) 품목을 대상으로 추진했습니다. 올해는 채소품목 뿐만 아니라 곡물, 과수 등 노지에서 재배되는 모든 품목을 대상으로 확대 추진키로 했습니다.
또 2018년에는 ICT기술 접목을 통한 자동관수 중심으로 현장적용을 했습니다. 그러나 2019년에는 자동 관수 외에도 드론을 활용한 자동 병해충 방제, 외부기상 분석을 통한 병해충 예측 등 다양한 모델을 발굴하여 지원할 계획입니다.
사업대상으로 선정되면 데이터 분석·활용을 위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생육·경영정보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
이번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농업기술원과 농업기술센터에서는 ICT장비 모델과 농가를 구성해 농식품부(농산업정책과) 또는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또 관심있는 농업인·농업법인도 농업기술원·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사업에 참여할 수 있으며, 농식품부는 제출된 사업계획에 대해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2월말까지 사업대상을 선정 할 계획입니다.
농식품부는 “이 사업을 통해 선정된 모델은 성과분석 등을 거쳐 현장에서 확산이 가능하도록 보급할 계획이다”며 “특히 노지는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시설재배에 비해 품질의 균일화가 어렵지만 스마트팜을 통해 개선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노동력 절감과 생산성 향상 등도 기대된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