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월드] 현대·기아차가 세계 최초로 차세대 내장형 '주행 영상기록장치'를 양산차에 적용합니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차량 내장형 주행 영상기록장치(DVRS·Drive Video Record System)를 향후 출시하는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탑재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습니다.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이 DVRS는 차량 내 AVN(Audio·Video·Navigation) 화면 및 스마트폰과 연동됩니다. 기존에 간단한 기능의 내장형 영상 기록장치가 양산차에 적용된 사례가 있지만 ▲전후방 고화질 녹화 ▲주차 중 녹화(보조배터리 장착 때) ▲충격감지 모드 ▲AVN 연동 ▲스마트폰 연동 ▲메모리 고급 관리 ▲eMMC(내장형 메모리) 적용 등 다양한 활용과 외부 연결성까지 갖춘 빌트인 타입은 처음입니다.
게다가 현대·기아차는 DVRS 모듈을 룸미러 뒤쪽 공간에 숨겼습니다. 외부로 노출돼 있지 않아 운전자의 시야 방해나 사고 시 부상 우려가 적습니다. 또 DVRS의 전방 카메라(해상도 1920x1080)는 룸미러 뒤쪽 플라스틱 커버 안에 내장되며 후방 카메라(해상도 1280x720)는 기존 주차보조용 카메라를 활용해 효율성도 뛰어납니다.
차량 내부에 장착된 32GB 용량의 저장장치는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내장형 eMMC 타입으로 일반 외장 카드타입 메모리에 비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연속 녹화시간은 주행 중 3시간, 주차 상태에서는 10시간(보조배터리 추가 장착 시)에 달합니다. 저장된 영상은 AVN 화면이나 휴대폰 앱을 통해 재생, 편집, 삭제, 공유 등을 할 수 있습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자동차에 포함되길 원하는 편의장치를 조사한 결과 DVRS가 많았다"며 "고객 중심 경영의 일환으로 신뢰성 높고 관리가 거의 필요 없는 빌트인 타입의 차세대 DVRS를 개발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