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미래 유력사업으로 대두되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의 선점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 지사가 발표한 ‘2016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 전략 분석 보고서(Strategic Analysis of Automated Car Market in Japan, 2016)’에 따르면 2025년까지 51.6%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하며 일본의 레벨 2 자율주행 자동차 선적량이 54만대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2016년 일본 자율주행 시장은 승용차 부문에 최초로 레벨 2 자율주행 상용차를 선보였다. 일본 자동차 시장은 도시지역 중심으로 인구 감소 및 탈자동차화, 고령화 추세로 신차 판매가 줄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많은 일본 기업들이 와해성 기술와 컨넥티드 서비스를 활용해 새로운 매출원을 강구하고 나섰다. 자율주행은 자동차 산업을 뛰어넘어 비즈니스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높은 잠재 기술 중 하나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는 2025 로드맵 뿐만 아니라 일본 자동차 시장 역학과 관련 정부 정책, 규제들을 평가했다. 또 잠재적 신흥 시장 참가 업체들과 새로운 성장기회, 그리고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을 위한 주요 OEM들의 로드맵에 관한 개요 역시 제공한다.
일본 신차 평가 프로그램인 JNCAP(Japan New Car Assessment Program) 업데이트와 관련 법 개정이 단기적으로 일본 자율주행 자동차 보급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2020 도쿄 올림픽이 일본 자율주행 자동차 보급을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도쿄 올림픽이 일본에서 레벨 2를 뛰어넘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일본 OEM사들도 자율주행 시스템에 대한 고객 인식을 높이기 위해 AD 기술을 자주 선보이고 있다.
AI 또는 빅데이터 분석 기업들을 비롯한 새로운 시장 참여업체들이 향후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이다. DeNA와 SB Drive가 자율주행 기술 관련한 합작 벤처 사업과 공동 연구를 통해 일본 자동차 산업의 현재 에코시스템에 변화를 줄 전망이다.
하지만 일본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시장이 성장하려면 자율주행 지원 인프라와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 차량에 관한 규제, 자율주행 기능에 관한 표준화, HMI 시스템이 턱없이 부족한 점 등, 여러 문제들을 해결해야 한다는 과제가 남아 있는 실정이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