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대한통운이 글로벌 물류사로의 확고한 위치 선점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영역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먼저 CJ대한통운(대표 박근태)은 지난 3월 16일 CJ인재원에서 러시아 대표적 물류기업인 ‘페스코(FESCO)’사와 전략적 협업 및 공동 사업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하고 북방물류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물류기업과 전략적 협력을 통해 ‘북방물류’에 본격하는 토대를 마련한 것입니다.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등으로 대표되는 북방물류는 ‘한반도 신성장동력’으로 불리는 북방경제협력의 핵심사업으로 최근 한반도 정세와 맞물려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 꼽힙니다.
이날 CJ대한통운과 MOU를 체결한 페스코사는 1880년 설립된 철도·항만·해운 등 다양한 물류사업을 운영 중인 러시아의 대표적인 물류기업으로 블라디보스톡 항만 최대주주이면서, 러시아 최대 민간 컨테이너 선사입니다.
이 업체는 화물기차만 1만7000대를 보유한 러시아 10대 화물기차 운용사로 TSR 등 극동지역 주요 내륙철도 운송업체입니다. 특히 블라디보스톡과 북한 나진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북-중-러 핵심 물류거점으로 지목되고 있는 러시아 자루비노항 개발권을 가진 숨마(SUMMA) 그룹이 페스코사 지분의 49.9%를 가진 최대주주라고 합니다.
CJ대한통운과 페스코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유라시아 전 지역에 걸친 다양한 분야의 물류사업을 공동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우즈베키스탄 등 CIS지역에서 진행되는 대형 플랜트 시공사업 등 구체적인 실행단계에 접어든 사업을 비롯해 프로젝트 물류 분야에서 정보공유, 협업수주 등 전략적 파트너 관계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우즈베키스탄 천연가스합성석유 플랜트(UGTL) 프로젝트와 관련된 협약 내용에는 돈-볼가강 운하 이용 협력 등 구체적인 내용까지 포함됐습니다. 중앙아시아·러시아·시베리아 등은 최근 대형플랜트 건설이 집중되고 있어 CJ대한통운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페스코의 광범위한 네트워크가 결합될 경우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한반도 신성장동력’으로 불리는 북방경제협력 분야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페스코는 자사 운송 인프라를 활용해 유라시아 물류 핵심 인프라인 시베리아횡단철도(TSR) 운송사업에 CJ대한통운이 진입할 수 있도록 돕기로 하는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또 CJ대한통운은 대통령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위원장 송영길)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페스코社와 자루비노항 및 터미널 운영 관련 시설 개발과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러시아와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으로 운송되는 프로젝트 물량에 대응하기 위한 컨테이너 공동 투자와 함께 블라디보스톡 및 자루비노항을 통해 운송되는 화물에 사용되는 철도 플랫폼과 차량에 대한 투자 가능여부에 대해서도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CJ그룹이 러시아 소재 공장에서 생산한 제품의 운송과 CJ네트워크 활용 및 상품시장 확장 방안에 대한 공동사업도 협약에 포함됐습니다.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양사의 TSR 공동영업 등 북방물류 진출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어서 한반도 신성장동력으로 꼽히는 ‘북방물류’가 본격화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라 해운-철도-육로(트러킹)를 잇는 유라시아 복합운송상품 개발은 물론 장기적으로 나진-핫산 프로젝트와 TKR(한반도종단철도)-TSR 연계 운송상품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고 있습니다.
송영길 위원장은 이날 축사를 통해 “CJ대한통운과 페스코의 협약은 우리 기업의 극동지역 사업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한-러 기업간 네트워킹을 강화하기 위해 개최된 제2차 한국 투자자의 날(2018년 3월 5일)의 중요 성과이며, 지난해 12월 한-러기업협의회가 출범한 이후로 강화된 한-러간 민간협력의 결과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CJ대한통운 박근태 대표는 “CJ대한통운은 러시아를 통한 유라시아 물류시장 공략에 이어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다양한 물류 루트 개발을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물류상품을 제공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아시아 넘버원 종합물류기업의 위상을 굳건히 하고, 2020년 글로벌 TOP5 물류기업을 향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