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식음료 브랜드가 국내 소비자를 타깃으로 한 '한국형 마케팅'으로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 시장은 글로벌 기업에게 종종 테스트 베드가 된다고 합니다. 우리 국민이 유행에 민감하고 새로운 것에 관심이 높아 신제품 등 시장 반응을 살피기 좋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다양한 산업으로 한류가 확산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시장에서 성공하면 이를 다른 국가로도 연결시킬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 소비자의 마음 잡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식음료 브랜드는 한국 시장과 소비자 트렌드 등을 분석해 기획 단계부터 국내 시장에 맞는 캠페인이나 제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먼저 페르노리카 코리아의 위스키 '발렌타인'이 있습니다. 발렌타인은 최근 '우리가 깊어지는 시간'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는데 이는 인터내셔널 위스키 최초로 기획에서부터 모델 선정, 내용 구성 그리고 제작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국내 시장과 소비자를 고려한 작품입니다.
발렌타인 브랜드 역사상 최초로 한국인 배우를 모델로 발탁한 점 역시 같은 맥락입니다. 발렌타인이 캠페인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시간의 가치와 정우성, 이정재 두 배우가 함께한 시간이 잘 맞닿아 있는 것입니다. 소중한 이들과 발렌타인을 들며 깊어지는 시간을 자연스러운 일상의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는 내용 역시 우리나라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기에 충분합니다.
'코카콜라'의 '마음을 전해요(Share a Coke)' 캠페인은 한국형 캠페인으로 잘 알려진 사례입니다. 코카콜라는 국내 시장에서 2014년부터 마음을 전해요 캠페인을 이어왔습니다. 한국인 고유의 정서인 '정'을 통해 글로벌 캠페인을 지역화 해 상당한 효과를 거뒀습니다.
사실 이 캠페인은 2012년 호주에서 시작됐습니다. 패키지에 'OO와 함께 콜라를 나누세요(Share a Coke with)'라는 문구 아래 이름을 표기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름이 복잡하고 다양해 이와 동일한 방법이 불가능했습니다. 이에 코카콜라는 한국인의 정서인 정에 착안해 메시지로 마음을 전달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프링글스'는 우리나라 대표 간식인 요구르트를 접목한 한국 단독 한정 제품을 선보여 많은 인기를 끌었습니다. '프링글스 콜라'와 함께 우리나라 국민 간식 중 하나인 요구르트를 통해 색다른 재미와 맛을 선사했습니다. 호불호 없이 누구나 즐겨 마시는 요구르트 맛과 함께 패키지에도 요구르트병을 그려 넣어 특별함을 더했습니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시장 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글로벌 브랜드들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그중 충분한 시장 분석과 그 시장에 맞는 전략으로 소비자를 공략하는 추세"라고 말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