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0-07-06 09:35 (월)
혁신형 제약기업 31개사, 2021까지 유효기간 3년 연장
혁신형 제약기업 31개사, 2021까지 유효기간 3년 연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5년 인증 연장된 혁신형 제약사 31개사의 유효기간이 3년 더 연장됐다. 사진=비즈월드 DB
지난 2015년 인증 연장된 혁신형 제약사 31개사의 유효기간이 3년 더 연장됐다. 사진=비즈월드 DB

혁신형 제약사 31개사의 유효기간이 2021년까지 3년 연장됐습니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018년도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에서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연장 여부와 CJ헬스케어의 혁신형 제약기업 지위 변동사항 그리고 2018년 혁신형 제약기업 신규인증 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정부는 지난 2013년 처음으로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이 제도는 국내 제약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제약산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국내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신약 연구개발 투자를 하거나 신약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제약사가 대상입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지난 2015년에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인증(2018년 6월 19일 만료)된 기업 31개사의 유효기간을 3년간 연장할 것을 의결했습니다. 구체적으로 31개사는 ▲건일제약 ▲녹십자 ▲대웅제약 ▲대원제약 ▲대화제약 ▲메디톡스 ▲바이로메드 ▲보령제약 ▲부광약품 ▲비씨월드제약 ▲삼양바이오팜 ▲삼진제약 ▲셀트리온 ▲신풍제약 ▲에스티팜 ▲유한양행 ▲이수앱지스 ▲종근당 ▲크리스탈지노믹스 ▲태준제약 ▲한국오츠카 ▲한국유나이티드제약 ▲한국콜마 ▲한독 ▲한림제약 ▲한미약품 ▲현대약품 ▲CJ헬스케어 ▲JW중외제약 ▲LG화학 ▲SK케미칼 등입니다.

이와 함께 지난 4월 4일자로 씨케이엠(한국콜마 종속회사)에 인수된 CJ헬스케어의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지위는 그대로 유지됩니다. 지배구조(CJ제일제당→한국콜마)만 바뀌고 회사명과 의약품 제조⋅판매업 등 관련 인허가 등 법인의 동일성은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 위원회는 2018년 하반기에 진행할 4차 혁신형 제약기업 신규인증 계획(안)을 원안대로 심의⋅의결했습니다. 다만 2016년 3차 인증 시와 비교해 이번 인증은 올해 3월 개정된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고시'에 따라 강화된 결격사유 등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김주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은 "이번 위원회 심의⋅의결에 따라 관련 고시를 6월 20일자로 개정⋅발령할 것"이라며 "향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제도 중장기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해 혁신형 제약기업 CEO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으로 산업계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