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통화위원회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청와대의 장하성 실장을 비롯해 범 정부 차원에서 밀어붙이고 있는 소득주도성장 정책과 충돌한다는 일부 지적에 대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다른 견해를 나타냈습니다.
한은 총재는 19일 한국은행 임시본부에서 열린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이 같은 질문에 대해 "통화정책은 거시경제 관점에서 이뤄지는 것이며, 당장 가구 소득분배 정책과 연결짓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와 관련, "금리가 상승하면 금융부채보다 금융자산이 많은 가구의 이자수익은 늘어나지만 반대의 경우 부담이 가중된다는 의견은 원론적인 얘기일 뿐이다. 한은은 거시적 관점에서 통화정책을 가져간다"고 부연했습니다.
이 총재는 이어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성장과 물가에 초점을 둘 수 밖에 없다"면서 "가계부채와 금융불균형도 봐야겠지만 통화 금리정책은 거시적으로 풀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가계부채 증가세와 관련해서는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소득증가 추세에 맞춰 억제돼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내놨습니다.
아울러 이 총재는 5월 금통위 회의 당시 소수의견 대두와 관련해 내부 의견 조율이 부족한 것이 아니냐는 질의에 대해서는 "현 상황에 대한 시각이 다를 뿐이며, 특정 이슈에 대해 발언했다고 해서 금통위의 커뮤니케이션이 엇박자 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은아 기자 mykongi@bizwnews.com
저작권자 © 비즈월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