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행정부는 미 동부시간으로 6일 오전 0시 1분(현지시간)을 기해 미 무역대표부(USTR)가 지난달 확정한 산업 부품·설비 기계·차량·화학제품 등 340억 달러 규모 중국산 818개 품목에 대한 25%의 고율 관세부과 조치를 발효했습니다.
이에 중국도 미국의 관세부과 여부를 확인한 후 대두 등 34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맞불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해 미국과 중국의 본격적인 무역 전쟁이 사실상 방아쇠를 당겼습니다.
CNN 등에 따르면 미국 행정부는 나머지 284개 품목에 대해서도 2주 이내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부과 행정명령’에 따라 무역대표부, USTR도 이런 일정표를 확정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중국산 제품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사실상 중국 업체들은 미국 수출길이 막히게 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보하고 있는 2000억 달러 어치가 있고 3000억 달러 어치가 더 있다”며 “이것은 오직 중국에 대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전쟁의에 대해 "어쩔 수 없이 반격하겠다"며 즉각적인 반응에 나섰습니다.
신화통신 등 중국 현지 언론은 6일 중국 상무부 대변인이 "미국이 340억 달러 중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해 세계 경제사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무역전쟁에 시동이 걸렸다"면서 "이는 세계무역 규정을 위반한 것이며 전형적인 무역패권주의이다"라고 비판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는 세계에 혼란을 야기하고 무고한 수많은 글로벌 기업과 일반 기업, 보통의 소비자는 물론 미국 기업과 미국인의 이익까지 훼손하는 결정이라고 지적했다는 것입니다.
중국 측은 당초 예고한데로 보복에 나설 것도 밝혔다. 상무부 대변인은 "중국은 약속한 대로 먼저 방아쇠를 당기지는 않았지만 국가 핵심이익과 인민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필요한 반격에 나설 것이다"라고 말했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일방주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해서는 "중국은 세계 각국과 함께 자유무역과 다자주의 체제를 수호하고 개혁개방도 흔들림없이 추진하겠다"며 관련 기업의 타격 정도를 계속 주시하고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조치로 최선을 다해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 등 세계 1, 2위 무역 국가의 관세보복전이 자칫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되면서 관계 당국은 물론 관계 업체들이 비상체제에 돌입한 상태입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