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청 바다 수온 상승이 시간이 지날수록 빨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더욱 가속화 되는 중입니다.
기상청(청장 남재철)은 해양기상부이(현재 17개소)로 관측한 표층 수온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여름철 바다 수온이 2010년부터 올해까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반도 전 해역의 7월 평균 수온은 2010년 이후 연 0.34℃씩 상승했습니다. 이는 수온 최초 관측해인 1997년 이후 7월 평균 수온 상승 경향인 연 0.14℃보다 약 2.4배 높은 수치입니다.
그중 서해는 7월 월평균 수온이 1997년 이후 연 0.17℃씩 오르다가 2010년부터 연 0.54℃씩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남해와 동해의 7월 월평균 수온은 각각 연 0.30℃와 0.21℃씩 증가했습니다.
또 서해의 8월 평균 수온은(2017년 8월 자료까지만 분석) 2010년 이후 연 0.45℃씩 상승했습니다. 남해와 동해의 경우 각각 연 0.36℃와 0.37℃씩 상승해 7월보다 더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극궤도 위성이 관측한 2016년~2018년의 7월 평균 수온 분석 결과 한반도 주변 해역의 고수온 영역이 지속적으로 북쪽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2016년에는 7월의 평균 25℃ 등수온선이 태안과 울산 인근 해역이었으나 2017년에는 백령도와 속초, 2018년인 올해는 평안북도와 함경남도 인근 해역까지 북상했습니다.
최근 급격한 수온 상승이 나타난 가장 큰 이유는 장기간 지속된 폭염입니다. 여기에 한반도가 직접적인 태풍 영향을 적게 받아 해수면 아래 찬 바닷물과 표층의 따뜻한 바닷물이 섞여 수온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기상청 관계자는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수온이 상승하면서 폭염도 매년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다의 어종 변화와 어획량 감소, 양식장 집단 폐사 등이 계속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